II-2-2. BSS(Base Station Subsystem)
BSS는 무선 채널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데 BSC와 BTS로 구성된다.
① BSC(Base Station Controller)
BSC는 MSC와 BTS간의 물리적 연결 링크 역할을 하며 BTS의
무선자원을 제어/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핸드오프를 제어하고 BTS의 형상/출력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BSC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호를
유지시키는 것인데, 단말기는 통상 매 480ms 마다 수신 신호의 세기를 BSC로 보고하고, 이 정보를 통하여 BSC는 핸드오프를 지시하거나
또는 BTS의 출력 증감을 명령하게 된다.
하나의 MSC에는 다수의 BSC가 연결될 수 있으며, BSC와 MSC는 전용 임대회선(예를
들어 E1, T1)이나 마이크로웨이브 링크를 통해 연결된다. 제조업체 별로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일부 제품의 경우는 BTS가 BSC의 기능까지
함께 수행하기도 한다. 동일한 BSC내의 두 BTS 간에 발생하는 핸드오프는 BSC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MSC의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
BSC는 TRAU(Transcoder Rate Adopter Unit)를 포함하며 TRAU에서 데이터 전송률 조정뿐만 아니라 음성 인코딩과 디코딩이 수행된다. GSM에서의 사용자 음성은 보코더를 통해 13kbps로 인코딩되어 전송되는데 BSC에서 이것을 디코딩하여 64kbps PCM(Pulse Code Modulation) 형태로 만들게 된다. MSC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네트워크와 연결되므로 64kbps로 음성을 보내거나 받게 되며, TRAU는 BSS의 한 부분으로 BSS로 송수신되는 음성을 64kbps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통상 TRAU는 BSC로부터 분리되어 MSC 근처에 설치된다. 이는 MSC 위치와 BSC 위치 사이의 대역폭을 줄여 주며 BSC와 MSC가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소요될 경비를 상당 부분 감소시켜 준다. BSC와 TRAU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그들 사이의 연결은 Ater 인터페이스라고 알려져 있다. BSC와 TRAU는 같은 장비 사업자의 제품이어야 한다.
②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TS는 이동전화 단말기와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BTS는
송신부, 수신부 및 안테나부로 구성되며 안테나 형태에 따라 옴니(Omni)형 기지국 또는 섹터(Sector)형 기지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BSC에는 다수의 BTS가 연결된다.
BTS와 BSC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Abis이며 이 인터페이스는 많은 측면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그러나 BTS를 배치, 운영, 관리하는 부분의 인터페이스는 BTS와 BSC의 공급자에게 독점권이 있다. 이는 OML(Operation
and Maintenance Link)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BTS의 내부 설계는 BTS 제조회사의 독점권이고 OML은 그런 특정한 내부 설계에
맞는 기능을 필요로 하므로 OML 역시 BTS 제조회사의 고유 권한이다. 그러므로 BTS는 반드시 BSC와 같은 회사에서 제조되어 연결되어야
한다.
'공부하기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ISDN, IMSI, IMEI (To be updated) (0) | 2012.02.24 |
---|---|
II-2-3. NSS(Network Subsystem) (0) | 2012.02.23 |
UE Category in LTE (0) | 2012.01.11 |
II-2-1. MS(Mobile Station) (0) | 2011.12.01 |
II-2. GSM System (0) | 2011.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