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Network

II-2-2. BSS(Base Station Subsystem) II-2-2. BSS(Base Station Subsystem) BSS는 무선 채널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데 BSC와 BTS로 구성된다. ① BSC(Base Station Controller) BSC는 MSC와 BTS간의 물리적 연결 링크 역할을 하며 BTS의 무선자원을 제어/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핸드오프를 제어하고 BTS의 형상/출력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BSC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호를 유지시키는 것인데, 단말기는 통상 매 480ms 마다 수신 신호의 세기를 BSC로 보고하고, 이 정보를 통하여 BSC는 핸드오프를 지시하거나 또는 BTS의 출력 증감을 명령하게 된다. 하나의 MSC에는 다수의 BSC가 연결될 수 있으며, BSC와 MSC는 전용 임대회선(예를 들어 E1, T1)이나 .. 더보기
UE Category in LTE In the same way that a variety of other systems adopted different categories for the handsets or user equipments, so too there are 3G LTE UE categories. These LTE categories define the standards to which a particular handset, dongle or other equipment will operate. LTE UE category rationale The LTE UE categories or UE classes are needed to ensure that the base station, or eNodeB, eNB can communi.. 더보기
II-2-1. MS(Mobile Station) II-2-1. MS(Mobile Station) MS(이동국 또는 단말기)는 단말 장치(ME : Mobile Equipment), 즉 핸드셋 그 자체와 스마트카드의 일종인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으로 구성된다. SIM은 개인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가 아니더라도 SIM만 바꿔 넣으면 다른 단말기도 사용이 가능하다. SIM은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인증키(Authentication Key), 가입자 정보, 접속 제어 등급(Access Control Class), 암호키(Cipher Key),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부가적인 GSM 서.. 더보기
II-2. GSM System II-2. GSM System GSM 시스템은 크게 이동국(MS : Mobile Station), 기지국 시스템(BSS : Base Station Subsystem),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NSS : Network Subsystem)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보기
II-1. GSM Introduction II-1. GSM Introduction GSM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의 표준이다. 원래 GSM은 1982년 900MHz 대역의 범유럽 이동전화 표준을 만들기 위해 ETSI에 의해 구성된 표준화 그룹의 이름이었으며 초창기의 명칭은 GSM(Group Special Mobile)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유럽을 비롯하여 동남아, 북미, 중국 등 많은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을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 1) GSM의 역사 GSM 기술은 미국의 IS-136(DAMPS : Digital AMPS)과 매우 유사하지만 그 개발 과정은 상당히 다르다. 미국에서는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가 산업계를 단일 아날로그 표준에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