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Network

II-3. GSM Network


II-3. GSM Network

 

II-3-1. GSM Network의 구성

 

GSM 네트워크는 아래 그림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지역적인 영역으로 구성되며 셀, LA, MSC/VLR Service Area,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Area가 있다.

 

셀은 하나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지역을 말한다. GSM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셀은 개별 셀에 부여된 번호인 CGI(Cell Global Identity)로 구분된다. 셀은 크게 Umbrella Cell(반경 100km, 위성통신), Hyper Cell(반경 20km, 도시외곽 지역), Macro Cell(반경 1 ~ 20km, 고속도로 주변), Micro Cell(50 ~ 300m, 도심 지역), Pico Cell(~ 100m, 건물 내)로 구분할 수 있다. Umbrella Cell은 GSM 망에서는 쓰이지 않는데, 그것은 GSM900의 최대 반경이 35km이고 DCS1800의 경우 10km 정도이기 때문이다. 나머지 네 가지 형태의 셀은 GSM 망에서 모두 사용된다.

 LA는 셀의 집합으로 어떤 가입자를 호출할 때는 LA 단위로 호출하게 된다. 각각의 LA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BSC가 있다. 또한 각 LA에는 LAI라는 숫자가 부여되어 있다. LAI는 하나의 셀이나 셀들의 집합을 식별하는 식별자이며 핸드오프에 사용된다.

  

MSC/VLR Service Area는 하나의 MSC가 관장하는 지역을 의미하며 PLMN은 하나의 사업자가 관리하는 서비스 지역이다.

[출처] II-3-1. GSM Network|작성자 ktec21

'공부하기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IC and eICIC  (0) 2013.12.22
Google - Loon Project  (0) 2013.08.28
MSISDN, IMSI, IMEI (To be updated)  (0) 2012.02.24
II-2-3. NSS(Network Subsystem)  (0) 2012.02.23
II-2-2. BSS(Base Station Subsystem)  (0) 201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