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

II-3. GSM Network II-3. GSM Network II-3-1. GSM Network의 구성 GSM 네트워크는 아래 그림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지역적인 영역으로 구성되며 셀, LA, MSC/VLR Service Area,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Area가 있다. 셀은 하나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지역을 말한다. GSM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셀은 개별 셀에 부여된 번호인 CGI(Cell Global Identity)로 구분된다. 셀은 크게 Umbrella Cell(반경 100km, 위성통신), Hyper Cell(반경 20km, 도시외곽 지역), Macro Cell(반경 1 ~ 20km, 고속도로 주변), Micro Cell(50 ~ 300m, 도심 지역), Pico Cell(~ 100m, 건물.. 더보기
MSISDN, IMSI, IMEI (To be updated) This information will be udpated soon. 더보기
II-2-3. NSS(Network Subsystem) II-2-3. NSS(Network Subsystem)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NSS)은 호 처리와 가입자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아래의 기능 단위들을 포함한다. ① MSC(Mobile Switching Center)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MSC이다. MSC는 PSTN의 교환기와 유사하며 이동성 관리, 위치 등록/관리, 인증, 핸드오프, 로밍, 과금, 네트워크 간의 연동, 신호 제어 등을 담당한다. MSC가 보통의 PSTN 교환기와 다른 이유는 모바일 환경에서 MM(Mobility Management) 기능을 제공한다는데 있다. MSC는 BSS와 A Interface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는데 A Interface는 SS7(Signaling System No.7) 프로토.. 더보기
II-2-2. BSS(Base Station Subsystem) II-2-2. BSS(Base Station Subsystem) BSS는 무선 채널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데 BSC와 BTS로 구성된다. ① BSC(Base Station Controller) BSC는 MSC와 BTS간의 물리적 연결 링크 역할을 하며 BTS의 무선자원을 제어/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핸드오프를 제어하고 BTS의 형상/출력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BSC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호를 유지시키는 것인데, 단말기는 통상 매 480ms 마다 수신 신호의 세기를 BSC로 보고하고, 이 정보를 통하여 BSC는 핸드오프를 지시하거나 또는 BTS의 출력 증감을 명령하게 된다. 하나의 MSC에는 다수의 BSC가 연결될 수 있으며, BSC와 MSC는 전용 임대회선(예를 들어 E1, T1)이나 .. 더보기
[수영]평영 배우기 평영을 배우면서 스스로 몸치임을 절실히 깨닫고 있다. 분명 팔자세하고 다리를 차야 하는데, 어느 순간 동시에 하고 있다. 나는 바보인가봐요라고 코치한테 이야기 했더니, 첫날부터 다 할줄 알면 자기는 뭐먹고 사냐고, 다른 사람들도 다 나같다고 애써 위로해준다. 발목은 힘을 빼되 꺾어서 차주고, 손동작은 작게 하자. 명심 또 명심. 더보기